CI(Continuous Integration)
CI는 지속적 통합은 개발과 동시에 품질 관리를 함께하는 것이다. 여러 명이 하나의 코드에 대해서 수정을 진행해도 지속적으로 통합하면서 관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I를 적용하게 되면 각자의 개발자가 자신의 구현해야 할 기능을 구현하면 된다. 이후 완성이 되면 main 브랜치와 통합하고 코드가 잘 빌드되는지 보고,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하며 코드에 버그가 있다면 해결한다. 하지만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병합하고 빌드, 테스트를 검증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귀찮고 그 양도 프로젝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많아질 수밖에 없다.
이를 자동화하면 개발자가 빌드와 테스트를 직접 하지 않고도 수정한 코드를 브랜치에 병합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빌드와 테스트를 검증할 수 있다.
개발자가 단위별로 구현한 부분을 병합할 때마다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가 트리거되어 실행된다. 결과를 통해 우리는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지 배포 전에 확인할 수 있고, 배포가 완성된 후에야 버그를 수정할 수 있던 기존의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그를 신속하게 찾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품질을 개선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검증하고 릴리즈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CI의 간단한 순서는 아래와 같다.
CD(Continuous Deployment)
CD는 지속적 배포로 소프트웨어가 항상 신뢰 가능한 수준에서 배포될 수 있도록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지속적 제공(Continuous Delivery)로 사용되기도 한다.
지속적 제공은 CI를 통해서 새로운 소스코드의 빌드와 테스트 병합까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빌드와 테스트를 거쳐 github과 같은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적 배포는 이렇게 성공적으로 병합된 내역을 저장소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배포환경까지 릴리즈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적 배포에서는 지속적 통합을 통해 빌드한 소스코드를 테스트 가능한 알파나 베타 버전으로 만든다. 이 버전에서 테스트를 수행해 문제가 발생하면 수정한 뒤 정식 버전으로 배포를 진행한다.
대표적인 CI/CD의 방법으로는 Travis와 Jenkins가 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용어 정리 (0) | 2021.12.30 |
---|---|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이해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