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인터넷
컴퓨터란 본체와 각종 입출력 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핵심이 되는 것은 CPU와 메모리이다.
•CPU: 명령 계산 및 실행
•메모리(RAM): 기억하기
•하드디스크: 저장하기
•메인보드: 모두를 모아서 꽂아두기
위의 기계와 소통할 수 있게 만든 기반 프로그램이 OS 운영체제 (기계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기반 프로그램)
예)안드로이드, 윈도우10, iOS, 리눅스 등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
오픈소스(무료로 공개된 코드), 컴퓨터나 서버가 여러대 필요할 때 사용
OS운영체제에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어떤 언어로 하냐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특성이 다를뿐 어떤 언어든 사용 가능
예) 파이썬, 자바, 자바스크립트, php, Ruby, Scala, nodo, C++, C# 등
컴퓨터끼리 대화를 주고 받는 게 바로 인터넷이고, 이 대화가 통하기 위해 규칙이 필요해 만든 것이 웹 = http
예) http://~~~~~~ 웹 통신을 하겠다
즉, 웹 통신은 인터넷 세상에서 웹 http라는 규칙으로 통신하는 것
웹 서버는 인터넷 세상에서 잘 듣고 있다가 웹 통신을 들었을 때 대답하는 것 ="웹 서버"를 만들었다
💡 https ? 보안을 강화한 웹
웹서비스 동작 방식
서버가 하는 역할은 가운데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는 것
(서버는 하나인데 요청자가 많으면 힘들어서 이때, "서버가 터졌다")
브라우저는 요청받은 것을 그냥 그려주기
웹은 다 받고, 앱은 데이터만(JSON형식{키:밸류})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때 API(창구)를 통해서 요청
즉, API는 서버에서 미리 만들어둔 기능(창구)이며, 클라이언트 개발자와 미리 한 약속
http:// 서버위치 / API주소 ? 가져가기로 한 데이터
💡오픈API
누구나 요청할 수 있게 열어 둔 창구 예)공공 데이터
보통 API를 누구나 요청할 수는 없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0) | 2022.05.31 |
---|---|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이해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