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언어를 말한다.
< SQL명령어의 종류 >
분류 | 용도 | 명령어 |
DQL(Data Query Language) | 데이터 질의어 | SELECT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 CREATE, ALTER, DROP, TRUNCATE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 SELECT, INSERT, UPDATE, DELETE |
DCL(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권한 제어) | GRANT, REVOKE |
TCL(Transation Control Language) | 트랜잭션 제어 | COMMIT, ROLLBACK, CHECKPOINT |
-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테이블 등의 객체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정의하는 언어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 등을 조작하는 언어
- DCL(Data Control Language)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권한을 제어하는 언어
- TCL(Transation Control Language)은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언어
여기서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연산 단위이며 데이터를 담는 임시저장소이다.
- 가장 보편적으로 DDL, DML, DCL 3개로 분류하여 사용하지만 이 외에 DQL(Data Query Language), TCL(Transation Control Language)을 포함하여 더 넓게 분류하기도 한다. SELECT는 DQL(데이터 검색 용도)로도 분류한다.
<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 하위 데이터 타입 | 설명 |
NUMBER | 숫자 | |
CHARACTER | CHAR | 고정길이의 문자열(최대 2000byte) |
VARCHAR2 | 가변길이의 문자열(최대 4000byte) | |
DATE | 날짜 | |
LOB(Long Of Byte) | BLOB | 대용량 이진 데이터 (최대 4GB) * |
CLOB | 대용량 문자 데이터 (최대 4GB) |
* BLOB은 이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이진수의 형태의 동영상/이미지/실행파일 등을 저장한다. 단, 속도때문에 사용을 지양한다.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구현 & SQL활용 (0) | 2022.09.20 |
---|---|
[SQL] SEQUENCE (0) | 2022.09.17 |
[SQL] VIEW (1) | 2022.09.17 |
[SQL] DML - SELECT구문 (0) | 2022.09.04 |
[SQL] 데이터베이스란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