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테스트>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사용성, 안정성 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숨어있는 소프트웨어 결함(오류)을 찾아내는 활동을 말한다
오류 발견: 잠재된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여 올바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오류 예방: 동료 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 등을 통해 사전에 발견해 예방하기 위해
품질 향상: 요구사항 및 기대수준을 만족하도록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본원리 >
결함 존재 증명 결함은 늘 존재(결함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 → 따라서 결함을 줄이는 테스트가 필요
완벽한 테스팅은 불가능
초기 집중 조기테스트의 중요성, 요르돈 법칙(눈덩이법칙)
결함 집중 오류의 80%는 전체 모듈 20%내에서 발견되는 파레토 법칙
살충제 패러독스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의 반복적 수행은 새로운 결함을 발견할 수 없다
정황 의존성 소프트웨어 성격에 맞는 테스트를 실시(성격에 맞게 각각 다르게)
오류부재의 궤변 오류가 없다고 해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품질이 높은 것이 아니다
<테스트 프로세스>
테스트 계획 → 테스트 분석 및 디자인 → 테스트 케이스 및 시나리오 작성 → 테스트 수행 → 결과 평과 및 리포팅
<소트프웨어 테스트 산출물>
-테스트 계획서: 테스트의 목적 및 대상 시스템 파악 등 테스트 수행을 계획한 문서
-테스트 베이시스: 논리적인 케이스로 테스트 설계를 위한 기준이 되는 문서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를 위한 설계 산출물로 입력값, 조건, 기대 결과로 구성
-테스트 슈트: 시나리오가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테스트 케이스의 모음
-테스트 시나리오: 테스트 되어야 할 기능 및 특징, 상황 등을 작성한 문서
하나의 테스트 시나리오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스크립트: 테스트 케이스의 실행 순서(절차)를 작성한 문서(=테스트 스텝, 테스트 절차서)
-테스트 결과서: 테서트 결과를 정리한 문서, 결과를 평가하고 리포팅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정보처리기사 동차 합격 후기(비전공자) (0) | 2022.06.28 |
---|---|
데이터 입출력 구현 (0) | 2022.03.31 |
정처기 실기 약술형 대비 정리 (1) | 2022.03.28 |
정처기필기 오답정리 (0) | 2022.03.04 |
[정처기필기] 소프트웨어 설계 (0) | 2022.03.04 |